본문 바로가기
백준코딩

백준 1단계 - 입출력과 사칙연산 1000번 (C언어, 파이썬)

by yunvely 2023. 5. 7.
728x90

백준1단계 입출력과 사칙연산 1000번

C언어와 파이썬으로 풀어보았어요!

 

 

1000번 정답 (C언어)

 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){
	int A,B;
    
    scanf("%d", &A);
    scanf("%d", &B);
    
    printf("%d",A+B);
    
    return 0;
}

 

1000번 정답 (파이썬)

A,B = input().split() #입력되는 문자를 input()함수로 입력받고 split()함수로 나누어 A,B변수에 저장

print(int(A)+int(B)) #int () 함수로 A와 B를 정수로 변환하고 두수의 합을 출력

 

A, B = input().split()

입력되는 문자를 input()함수로 입력받고

split()함수로 나누어 A,B 변수에 저장

입력받는 숫자는 랜덤으로 받게 되므로 어떤 숫자가 입력되어도 맞는 답이 나올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해야한다

왼쪽에 변수를 두고 오른쪽에 input( ) 함수를 작성하면 입력받은 문자를 변수에 선언할 수 있게 된다

유의해야 할 것은 input 함수로 입력받는 것은 문자열로 입력받아진다

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하더라도 문자열 형태로 입력받게 된다

split( ) 함수는 입력받는 문자를 나눌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

숫 자 두 개를 한줄에 입력받는데 두 숫자 사이에는 공백으로 구분되어 있다

이 경우에는 공백 기준으로 숫자를 나누면 된다

사용형태는 문자열 뒤에 점을 붙인 후 split( )을 써주면 된다

input( ).split( ) 은 입력받는 문자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어떤 문자가 들어오던 공백을 기준으로 나눈다는 의미이다

괄호 안에 아무것도 넣지 않으면 공백을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눈다.

A, B = input( ).split( )에서 A,B 두 개로 구분한 것은 튜플자료형의 성질을 이용한것이다

우측에서 입력받은 문자를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게 된다면 두 개의 문자는 나누어진다

그 두개의 문자를 A,B 변수에 저장한다는 의미이다